등본 떼는법 3가지(등본 떼는곳 미성년자 등본 주민센터 등본)
부모님의 품안을 떠나 사회 초년생이 되면 혼자 감당해야 할 일이 생각보다 많아요. 은행 업무부터 세금 납부, 등본 떼는 일 등... 면접을 보거나 행정 처리를 위해 필요로 하는 등본 떼기! 알고 나면 너무 쉽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등본 떼는법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눠서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주민센터 방문하기
등본 떼는 법의 기본 중 기본은 주민센터를 방문하는 것이에요. 등본을 떼는 곳은 주민센터뿐만 아니라 읍면동 동사무소에서도 가능합니다. 그래서 가까운 동사무소를 찾아가는 것이 좋겠어요.
필요한 서류 | 본인 발급 | 대리인 발급 |
---|---|---|
신분증 | 본인 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위임인의 신분증 및 위임받은자의 신분증 |
수수료 | 400원 | 400원 |
신청서 | 주민등록등본 교부신청서 | 주민등록초본 교부신청서(위임용) |
만약 본인이 직접 주민센터에 간다면, 신분증과 함께 수수료인 400원만 챙기면 돼요. 하지만 본인이 아닌 대리인이 등본을 떼는 경우에는 위임인의 신분증과 위임받은자의 신분증, 그리고 주민등록등본 교부신청서를 준비해야 하며, 신청서 하단에는 위임인의 서명이 반드시 필요해요.
미성년자의 경우에는 어떤가요? 미성년자는 만 15세 이상부터 주민등록등본을 발급받을 수 있어요. 만약 15세 이상이고 주민등록번호 앞자리가 학생증에 기재되어 있다면 혼자서도 발급이 가능하지만, 만 15세 미만이라면 법정대리인이 함께 가야 해요.
2. 온라인 발급 받기
주민센터나 동사무소를 방문하는 것이 번거롭다면 온라인으로 발급 받을 수도 있어요.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됩니다.
- 포털에 '정부24'를 검색해 홈페이지에 접속요.
- '자주 찾는 서비스'에서 [주민등록표등본(초본) 교부] 항목을 클릭해요.
- 민원안내 및 신청 화면이 나오면 '신청하기' 버튼 클릭!
특징 | 설명 |
---|---|
발급 수수료 | 무료 |
신청 가능 시간 | 24시간 언제든 가능 |
인증 필요 여부 | 공인인증서 필요 |
온라인으로 신청할 경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로그인이 필수인데요. 본인 인증이 필요한 민원 종류가 많기 때문에, 미리 공인인증서를 준비하는 것이 좋답니다. 로그인 후 원하는 양식을 선택하고, 내용을 체크한 후 '민원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발급받을 수 있어요. 진짜 간편하죠?
3. 무인발급기 이용하기
주민센터에 가기 힘들고 온라인으로 발급받기 여의치 않다면, 주민등록등본 무인발급기를 이용할 수 있어요. 주로 동사무소에 위치하고 있지만, 여러곳에 비치돼 있으니 확인해보면 좋겠어요.
무인발급기 정보 | 내용 |
---|---|
위치 | 주민센터, 동사무소 등 다양한 곳에 위치 |
발급 시간 | 365일, 24시간 가능 |
수수료 | 200원 (50% 할인) |
무인발급기는 사용이 간편한데요, 발급기 화면에서 주민등록등본을 선택하고,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본인 인증을 위해 지문을 확인해요. 그 후 필요한 내용을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발급 완료! 대기시간 없이 신속하게 발급 받을 수 있어요.
결론
등본 떼는 방법은 주민센터 방문, 온라인 발급, 무인발급기 사용 등 세 가지로 다양해요. 본인의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면 된답니다. 필요한 경우 미리 준비할 것들을 체크해 두면 좋겠어요. 이제부터 걱정 없이 등본을 떼고 필요한 일들을 처리해보세요!